아론티어가 AI(인공지능) 기반의 신약 개발 플랫폼 'AD3' 베타 서비스를 개시했다고 18일 밝혔다.
아론티어는 인공지능 기반 신약 개발 전문기업으로 다양한 신약 탐색 알고리즘을 만들어 해당 분야에 적용해 왔다. 이번에 베타 서비스
를 시작한 AD3의 경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'인공지능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사업'을 통해 개발됐다.
AD3는 일반 연구자가 인공지능 방법론으로 보다 쉽게 신약 후보 물질을 발굴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이다. 아론티어가 개발하고 논문으
로 검증한 다양한 인공지능 신약 개발 알고리즘들을 앱(애플리케이션)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. 다양한 앱은 하나의 파이프
라인으로 연동 가능하다. 이 때문에 최적화한 디스커버리 서비스가 가능해 후보물질 탐색이 손쉽다는 것이다.
여기에 탑재된 앱 서비스로는 3000만개 이상의 화합물 라이브러리에서 화합물을 탐색할 수 있는 'Docking of Millions'와 단백질 구조
기반 새로운 화합물을 생성하는 'de novo Design' 등이 있다. 표적 단백질의 구조 예측과 특성을 분석하는 Monomer, Complex, SPred 서비스 등을 포함해 15개 이상의 앱을 사용할 수 있다.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맞는 후보 물질 탐색이 가능하다.
아론티어는 이 베타서비스에 더해 오는 2023년 상반기 중 새로운 서비스를 강화하기로 했다. △표적 단백질 구조 변화 기반의 후보물질
탐색 △표적 탐색 및 부작용 예측(모든 인체 단백질 결합 가능성 예측) △돌연변이 구조 기반의 후보물질 탐색 등 새로운 서비스를 추가
키로 했다.
이번 베타 서비스는 신청자에 한해 무료로 제공된다. AD3 홈페이지를 통해 베타테스터로 지원한 연구자들은 추후 아론티어가 진행하는
인공지능 기반의 신약 개발 교육에 우선 참석이 가능하다. 이 교육은 신약 개발을 위한 AI 방법에 대한 소개와 AD3를 활용한 후보 물질
탐색 과정의 실습으로 구성되며, 오는 28일 첫 교육이 열린다. 온·오프라인을 통해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교육도 정기적으로 제공할 계
획이라고 아론티어 측은 설명했다.
아론티어 관계자는 "신약 개발은 10년 이상의 기간과 1조원 이상의 비용이 들지만, 성공 확률은 0.01% 미만으로 부담이 크고 지난한
과정"이라며 "이 같은 이유로 국내외 다양한 제약기업 및 바이오텍이 AI 신약 개발 기술을 파이프라인에 도입 중"이라고 설명했다. 이어
"아론티어는 인공지능 신약 개발 전문기업으로 이 분야 다양한 신약 탐색 알고리즘을 만들어 적용해 온 회사"라며 "기존 신약 개발 플랫
폼에 없던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것"이라고 덧붙였다.

|